맨위로가기

조중 국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중 국경은 서쪽의 압록강 하구에서 동쪽의 두만강 하구까지 약 1,420km에 걸쳐 이어진다. 압록강, 백두산, 두만강을 주요 지형으로 하며, 1962년 조약에 따라 섬의 귀속이 결정되었다. 역사적으로는 신라, 고려, 조선 시대에 걸쳐 국경선이 변동되었으며, 1712년 백두산정계비가 세워졌다. 1909년 간도 협약으로 일본이 청의 간도 영유를 인정했고, 1948년 북한 수립 이후 1962년 조약을 통해 현재의 국경선이 확정되었다. 조중 무역의 주요 통로이며, 탈북자 문제와 국경 경비 강화, 군사적 긴장 등 다양한 문제와 관련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경 - 러시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경
    러시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경은 두만강을 따라 17km 길이로 형성되었으며, 역사적, 지정학적, 인구학적 복잡성을 띠고, 하산스키군과 라선특별시를 통해 국경 무역을 진행하며, 조선-러시아 우정의 다리로 연결되어 있고, 양국 관계는 한반도 평화에도 영향을 미친다.
  • 중국의 국경 - 대만 해협
    대만 해협은 중국 푸젠성과 타이완 사이에 위치한 해역으로, 동중국해와 남중국해를 잇는 주요 항로이며 양안의 정치적·군사적 대치가 지속되는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 중국의 국경 - 로터스 브리지
    로터스 브리지는 마카오 반환을 앞두고 마카오와 주하이를 연결하기 위해 건설된 다리로, 독특한 디자인과 연꽃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지역 랜드마크 역할을 하며, 출입경 검사 간소화와 마카오 대학 연결 도로 개통으로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중화인민공화국 국경 - 두만강
    두만강은 백두산에서 발원하여 동해로 흘러드는 강으로,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러시아의 국경을 이루는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강이며, '두만'이라는 명칭은 만주어 '투먼'에서 유래되었고, 녹둔도는 역사적 영토 분쟁 지역이며, 탈북민들의 주요 경로이자 중국의 치어 방류로 생태계 위협 문제도 야기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중화인민공화국 국경 - 압록강
    압록강은 백두산에서 발원하여 황해로 흘러들며 한반도와 중국 대륙의 경계를 이루는 강으로, 고조선, 고구려, 발해의 영토를 관통하고 역사적 사건의 무대가 되었으며, 현재는 수력 발전에 이용되는 댐과 경제 협력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조중 국경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지린]]에 있는 중국과 북한 사이의 국경을 표시하는 비석
지린에 있는 중국과 북한 사이의 국경을 표시하는 비석
위치중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
별칭,
국경 표지
중국 국경 표지
중국 국경 표지
북한 국경 표지
북한 국경 표지
지리
길이1,352km (840마일)
역사
국경 확정1712년
북한 건국1948년 9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
현재 국경1962년 10월 12일, 중조 국경 조약 체결
조약중국-조선 국경 의정서
관련 조약일청 협약
비고백두산 천지를 이등분하도록 국경이 그어져 있음.
관련 정보
중국어 (간체)中国图们边境 (Zhōngguó Túmén Biānjìng)

2. 지리

조중 국경은 서쪽의 압록강 하구에서 동쪽의 두만강 하구까지 약 1,420km에 걸쳐 이어져 있다. 국경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압록강, 백두산, 두만강으로 구분된다.[2]

랴오닝성 단둥은 압록강 삼각주에 위치하며 국경 지역에서 가장 큰 도시이다. 강 건너편에는 북한 평안북도 신의주가 있다. 두 도시는 황해 근처, 국경 서쪽 끝에 있는 압록강 삼각주에 위치해 있으며 조중 우의교로 연결되어 있다.[3]

압록강과 두만강의 발원지는 백두산천지이며, 이곳은 한국인과 만주족의 발상지로 여겨진다.

중조 국경은 압록강, 백두산(장백산) 및 두만강(투먼강)으로 형성된다.[40] 압록강은 795 km(전체 길이의 56%), 두만강은 521km(37%), 백두산은 107 km(7%)를 차지한다. 두만강 하구에서 약 17 km 지점(중러조 삼국 국경)이 중조 국경의 북동쪽 종점이며, 중러 국경과 러조 국경의 기점을 형성한다.[39]

국경에 접한 최대 도시는 중국 랴오닝성단둥시이다.[41] 맞은편에는 북한 평안북도신의주시가 있다. 두 도시는 국경 서단의 황해에 면한 압록강 델타 위에 있으며, 중조 우의교로 연결되어 있다.

압록강에는 205개의 (중간주)이 있다. 양국 모두, 델타 지대를 포함한 압록강의 항행권을 가지고 있다.[3]

중조 간의 무역의 대부분은 단둥항에서 이루어진다.[39] 단둥의 여행자는 고속선을 타고 압록강의 북한 측 강변이나 그 지류로 들어갈 수 있다.[42]

2. 1. 주요 지형

압록강은 국경의 서쪽 부분을 형성하며, 단둥과 신의주를 포함한 주요 도시들이 강을 따라 위치해 있다. 조중 우의교를 통해 양국이 연결된다.[2] 압록강에는 205개의 섬이 있으며, 1962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중화인민공화국 국경 조약에 따라 북한이 127개, 중국이 78개를 소유하고 있다. 황금평과 같은 일부 섬은 강이 중국 측에 위치해 있더라도 북한에 속한다. 양국은 삼각주를 포함하여 강에서 항해할 권리를 가진다.[3]

조중 우의교(오른쪽)는 단둥과 북한을 연결한다.


백두산은 한민족의 영산으로 여겨지는 국경의 중앙에 위치하며, 천지는 양국 간의 국경선으로 나뉜다.[2]

두만강은 국경의 동쪽 부분을 형성하며, 하구러시아와의 국경과 만난다.[2]

2. 2. 섬

압록강에는 205개의 섬이 있다. 1962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중화인민공화국 국경 조약에 따라 각 섬에 거주하는 민족에 따라 섬을 분할했는데, 북한이 127개, 중국이 78개를 소유하고 있다.[2] 황금평과 같은 일부 섬은 강이 중국 쪽에 위치해 있더라도 북한에 속한다. 두 나라는 삼각주를 포함하여 강에서 항해할 권리를 갖는다.[2]

3. 역사

한반도 최초의 통일 국가인 신라대동강 하류까지 영토를 확장했지만, 고려는 북서쪽으로 압록강 하류까지 영토를 넓혔다. 조선 시대에는 북쪽 국경이 압록강과 두만강에 이르렀다. 명나라는 두만강 양안에 지방 행정 기관을 설치하고, 조선과 인접한 두만강 남쪽에 6개의 읍을 설치했다.

(근대 이전, 근대, 현대의 자세한 내용은 각각 === 근대 이전 ===, === 근대 ===, === 현대 === 하위 섹션을 참조)

3. 1. 근대 이전

역사적으로 조선과 중국의 국경 지역은 여러 세력 간의 분쟁이 있었지만, 현재의 국경선은 압록강두만강을 기준으로 15세기 중반까지 자리 잡았다.[4][5] 신라의 영토는 대동강 하류까지였지만, 고려를 거쳐 조선 시대에는 북쪽 경계가 압록강과 두만강에 이르렀다. 명나라는 두만강 양안에 행정 기관을 설치하고, 조선과 인접한 두만강 남안에 6개 읍을 설립했다.

1712년 조선 숙종과 청나라 강희제백두산 일대의 국경선을 명확히 하기 위해 국경 조사단을 파견했다.[4][6] 조사단은 백두산에서 남동쪽으로 4km 정도 떨어진 분수령에 정계비를 세워 국경을 표시했다.[6] 정계비에는 "서쪽은 압록강, 동쪽은 토문강으로 한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천지와 백두산은 청나라 영토에 포함되었다.

1885년1887년, 청나라와 조선은 두 차례에 걸쳐 국경 조사(감계)를 실시했다. 조선은 정계비에 기록된 "토문"이 두만강 북쪽의 토문강(가야하 수계의 해란강으로 흐르는 강)을 의미한다며 간도의 영유권을 주장했다. 청나라는 두만강이 자연스러운 국경이라고 주장하여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43] 2차 감계에서는 "토문강"과 "두만강"이 같은 하천이라는 데는 동의했지만, 두만강의 원류에 대한 이견으로 또다시 합의에 실패했다.[43][44][45] 조선은 두만강 최북단 지류인 홍토수를, 청나라는 최남단 지류인 석을수를 원류로 주장했다.

3. 2. 근대

1885년 9월부터 11월까지, 청나라와 조선은 "을유감계"라고 불리는 제1차 국경 조사와 교섭을 실시했다. 조선은 백두산정계비에 기록된 "토문"이 두만강 북쪽에 있는 토문강(두만강의 지류·가야하 수계의 해란강으로 흐르는 강)을 의미하며, 그 사이에 있는 간도의 영유권을 주장했다. 청은 자연스러운 국경은 두만강이라고 주장하며 양보하지 않아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43]

1887년 4월부터 5월까지 "정해감계"라고 불리는 제2차 국경 조사와 교섭이 진행되었다. 양국은 "토문강"과 "두만강"이 같은 음으로 동일한 하천이라는 데는 의견이 일치했지만, 두만강의 원류가 어디인지에 대해 의견이 달랐다. 조선은 두만강의 최북단 지류인 홍토수를, 청은 최남단 지류인 석을수를 원류라고 주장하여 다시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43][44][45]

청일 전쟁에서 청이 일본 제국에게 패배하고, 청은 조선에 대한 종주국 지위를 포기하면서 1897년대한제국이 성립했다. 대한제국을 보호국으로 삼은 일본은 처음에는 조선의 주장을 계승하여 간도를 조선 영토로 취급했다. 또한, 1907년 조사에서 "토문"은 송화강으로 유입되는 현재의 오도백하라는 것도 확인했다.[44] 그러나 1909년 9월 4일에 체결된 간도 협약에서 일본은 청나라의 다른 권익을 양보받는 대가로 청나라의 간도 영유를 인정했다.

1910년 한국 병합으로 일본은 대한제국을 병합했고, 조중 국경은 일본과 청나라의 국경이 되었다. 1932년 만주국이 성립하면서 국경 양쪽이 모두 일본의 세력권에 들어갔다. 일본령 조선과 만주국의 국경을 확정할 때, 백두산천지는 모두 일본령 조선에 편입되었다. 1945년 일본이 패망하면서 일본은 조선에서 철수했고, 만주국은 붕괴되었다.

3. 3. 현대

1945년 광복 이후, 한국은 남북으로 분단되었고,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되었다. 1962년, 북한과 중국은 압록강두만강을 따라 경계선을 정하고, 백두산천지를 가로지르는 육상 구간을 포함하는 비밀 국경 조약을 체결하였다.[5][9] 1964년에는 강 내 섬들의 소유권을 분할하는 추가 의정서가 체결되었는데, 북한에 264개, 중국에 187개가 할당되었다.[4] 이 두 조약은 양국 간 현대 국경의 기준이 된다.

1948년 북한 성립 이후, 북한은 중국에 백두산과 천지의 일부를 할양해달라고 여러 차례 요청하였다. 1962년 저우언라이 중국 총리와 천이 외교부장, 박성철 북한 외무상은 '중조변계조약'에 서명하였다. 이 조약으로 중조 국경은 압록강·두만강으로 확정되었고,[43][45] 백두산 천지는 54.5%가 북한령, 45.5%가 중국령으로 분할되었다.[46][47]

4. 경제 및 교류

단둥을 지나는 베이징-평양 여객 열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중화인민공화국의 국경은 "외부 세계로의 생명선"으로 묘사되어 왔다.[10] 중국과 북한 간 무역의 상당 부분은 단둥 항구를 통해 이루어진다.[2]

중국 휴대폰 서비스는 북한 영토 10km까지 확장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로 인해 국경 지역에서 중국 휴대폰 암시장이 형성되었다. 북한에서는 국제 전화가 엄격히 금지되어 있어, 이를 어기려면 상당한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11]

단둥에서는 관광객들이 압록강에서 보트를 타거나,[12] 북한 국경 근처에서 웨딩 사진을 찍는 등의 활동을 하기도 한다.[13] 북한 주민들은 단둥에서 메모리 카드와 테디 베어를 많이 구매한다고 한다.[14]

4. 1. 무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중화인민공화국의 국경은 "외부 세계로의 생명선"으로 묘사되어 왔다.[10] 중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무역의 상당 부분은 단둥 항구를 통해 이루어진다.[2]

중국 휴대폰 서비스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영토 10km까지 확장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로 인해 국경 지역에서 중국 휴대폰 암시장이 형성되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국제 전화가 엄격히 금지되어 있으며, 이를 어기면 이러한 휴대폰을 구하기 위해 상당한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11]

단둥의 관광객들은 압록강과 그 지류를 따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쪽에서 스피드 보트를 탈 수 있다.[12] 일부 중국 커플에게 흔한 결혼식 날 행사는 보트를 빌려 구명조끼를 웨딩복 위에 입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경으로 가서 웨딩 사진을 찍는 것이다.[13] 단둥에서 쇼핑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주민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품목 중 하나는 메모리 카드와 테디 베어라고 한다.[14]

4. 2. 인적 교류

조중 우의교를 비롯한 여러 다리를 통해 양국 간 인적 교류가 이루어진다. 특히 단둥 시와 신의주시를 잇는 중조우의교는 가장 많이 이용되는 통로이다. 베이징과 평양을 잇는 국제열차가 주 4회 운행되며, 모스크바에서 출발하는 열차도 주 1회 운행된다.[48]

중국 지안 시와 북한 만포시를 잇는 지안 철교


단둥에서는 관광객들이 압록강에서 보트를 타거나, 북한 국경 근처에서 웨딩 사진을 찍는 등의 활동을 하기도 한다.[12][13]

이름국경을 접한
중국 도시
국경을 접한
북한 도시
제3국
개방 여부
철도 교량비고
황금평단둥시 진싱 구 탕치신의주아니요아니요계획 중
신압록강대교탕치,
진싱, 단둥
신의주아니요건설 중
압록강 단교탕치,
진싱, 단둥
신의주아니요아니요폐쇄
중조우의교탕치,
진싱, 단둥
신의주개통
압록강 부교단둥시 전안 구 전전진신의주아니요폐쇄
합구 단교관뎬 만주족 자치현 창뎬삭주군아니요아니요폐쇄
합구 철교관뎬 창뎬삭주아니요개통
지안 철교지안,
퉁화
만포시
자강도
아니요개통
지안로교지안, 퉁화만포,
자강도
아니요아니요개통
압록강 삼강철교퉁화 지안 윈펑호만포,
자강도
아니요폐쇄
군봉철교윈펑호,
지안, 퉁화
자성
자강도
아니요폐쇄
린장 압록강 대교린장,
바이산
중강
자강도
아니요아니요개통
창바이-혜산 국제교창바이,
바이산
혜산시
량강도
아니요아니요개통
카림교창바이 얼스다오거우포천
량강도
아니요아니요폐쇄
삼지연 출입국 관리소안투 얼다오바이허
옌볜
삼지연시
량강도
아니요아니요백두산 근처
구청리교허룽 충산
옌볜
대홍단
량강도
아니요아니요개통
난핑교옌볜 허룽 난핑무산
함경북도
아니요아니요개통
산허교룽징 산허
옌볜
회령시
함경북도
아니요아니요개통
차오카이 철교룽징 카이산툰
옌볜
온성 삼봉
함경북도
아니요아니요개통
투먼 국경 철교투먼
옌볜
남양
온성
함경북도
개통
투먼 국경로교투먼, 옌볜남양,
온성, 함경북도
아니요개통
량수이 단교투먼 량수이
옌볜
온성
함경북도
아니요아니요폐쇄
훈융 철교훈춘
옌볜 잉안
경원 훈융
함경북도
아니요폐쇄
사퉈쯔교훈춘 산자이지
옌볜
경원
함경북도
아니요아니요개통
취안허-윈팅 교훈춘 징신
옌볜
라선 선봉구역 원정
함경북도
아니요개통


4. 3. 관광

단둥에서는 압록강을 따라 북한 지역을 관광할 수 있다.[12] 압록강과 그 지류를 따라 북한 쪽에서 스피드 보트를 타는 것이 가능하다.[12]

일부 중국 커플들은 결혼식 날 보트를 빌려 구명조끼를 웨딩복 위에 입고 북한 국경으로 가서 웨딩 사진을 찍기도 한다.[13]

단둥에서 쇼핑하는 북한 주민들에게는 메모리 카드와 테디 베어가 가장 인기 있는 품목 중 하나라고 한다.[14]

5. 국경 통제 및 안보

2012년 단둥 인근 압록강 삼각주 지역의 국경


2005년 북한과 중국 간의 국경은 "느슨한" 상태로 묘사되었다.[10] 2015년에는 북한 군인 한 명이 중국과 북한의 국경을 따라 살고 있던 중국 내 한국계 주민 4명을 살해하기도 했다.[30]

5. 1. 탈북민 문제

1,420km에 달하는 조중 국경은 허점이 많아, 많은 탈북자가 이 국경을 넘어 중국으로 들어온다.[38]

2003년, 중국 정부는 국경 관리 책임을 경찰에서 군대로 이관했다.[18] 이후 중국 당국은 두만강을 따라 주요 탈북 경로에 철조망 울타리를 설치하기 시작했다.[19] 2006년 9월부터[19] 중국은 압록강 삼각주 지역, 단둥 인근 국경에 울타리를 설치했다.[2] 콘크리트와 철조망 울타리가 설치되었다.[19]

2011년에는 중국이 단둥 인근에 새로운 울타리를 건설하고 있다는 보도가 있었다. 또한, 중국이 순찰을 강화하고, 높은 지대에 새로운 순찰 초소를 건설하여 해당 지역을 더 넓게 감시하고 있다는 보도도 있었다. 해당 지역 주민은 "이곳에 이렇게 강력한 국경 울타리가 세워진 것은 처음이다. 북한의 불안정한 상황과 관련이 있는 것 같다."라고 말했다. [23][24]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2020년 국경 통제가 크게 강화되었다. 북한은 2020년 1월 중국과의 국경을 폐쇄했다. 2020년 8월까지 북한 정권은 국경 앞에 1~2킬로미터 완충 지대를 설정하고, 이곳에 들어오려면 공식 허가가 필요하도록 했으며, 무단 침입자는 "경고 없이 사격"할 것이라고 밝혔다.[35][36] 2023년 5월, 로이터가 공개한 위성 사진에 따르면, 수백 킬로미터에 걸쳐 새로 건설된 이중 벽과 경비 초소가 관찰되었다.[37]

이러한 상황은 탈북민 문제와 관련하여 양국 간의 외교적 문제로 이어진다. 더불어민주당은 탈북민 문제에 대한 인도적 접근과 함께, 북한과의 대화를 통한 근본적인 해결책 모색을 강조한다.

5. 2. 국경 경비 강화

2000년대 이후, 중국은 국경 경비를 강화하고 있다.[10][18][19]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더욱 강화되었다.[35][36][37]

2003년, 중국 정부는 국경 관리 책임을 경찰에서 군대로 이관했다.[18] 같은 해부터 중국 당국은 두만강을 따라 주요 탈북자 경로에 철조망 울타리를 설치하기 시작했다.[19] 2006년 9월부터[19] 중국은 압록강 삼각주 지역 중 둑이 낮고 폭이 좁은 단둥 인근 국경에 20km 길이의 울타리를 설치했다.[2] 콘크리트와 철조망 울타리의 높이는 약 2.44m에서 약 4.57m에 이르렀다.[19]

2007년, 미국 관리는 중국이 "주요 국경 초소에 더 많은 울타리와 시설"을 건설하고 있다고 언급했다.[20] 같은 해, 북한이 압록강 북쪽 10km 구간에 울타리를 건설하기 시작했으며, 해당 지역을 경비하기 위한 도로도 건설했다는 보도가 있었다.[21][22]

2011년, 중국이 단둥 인근에 4m 높이의 울타리를 건설하고 있으며, 이 새로운 울타리가 13km에 걸쳐 건설되었다는 보도가 있었다.[23] 또한 중국이 순찰을 강화하고 있으며, 넓은 지역을 감시할 수 있도록 높은 지대에 새로운 순찰 초소를 건설하고 있다는 보도도 있었다.[23] 해당 지역 주민에 따르면 "이곳에 이렇게 강력한 국경 울타리가 세워진 것은 처음이다. 북한의 불안정한 상황과 관련이 있는 것 같다."라고 하였다.[23] 주민은 이전에 설치된 울타리가 약 3.05m 높이에 철조망이 없어서 "정말로 원한다면 누구나 넘을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23][24]

2014년, 단둥을 방문한 호주 기자는 낮은 수준의 국경 보안을 보고했다.[25][26] 2015년에는 울타리가 일반적인 모습이 아니라 예외적인 경우로 보고되었다.[27] 같은 해, 중국 측 국경을 따라 여행한 한 사진기자는 울타리를 보기 드물었으며 압록강이 얼어붙으면 건너기가 쉬울 것이라고 언급했다.[28] 같은 보고서에서는 국경 반대편 사람들의 우호적인 접촉도 언급했다.[28] 2018년, 한 사진기자는 국경을 따라 운전하며 "아무도 지키지 않는, 몇 마일이나 이어진 아무것도 없는 곳"이라고 묘사했다.[29]

북한 역시 국경 통제를 강화하고 있으며, 불법 월경자에 대한 강경 대응을 하고 있다.[35][36] 2020년 8월까지 북한 정권은 국경 앞에 1~2킬로미터 완충 지대를 설정하고, 이곳에 들어오려면 공식 허가가 필요하도록 했으며, 무단 침입자는 "경고 없이 사격"할 것이라고 밝혔다.[35][36]

5. 3. 군사적 긴장

한반도에서 긴장이 고조될 때마다 중국군의 국경 배치에 대한 소문이 자주 발생한다. 학자 아담 캐서트(Adam Cathcart)에 따르면, 이러한 소문은 입증하기 어렵고 해석하기도 어렵다고 한다.[31]

2017년 12월 7일, 중국 소셜 미디어에서 유출된 차이나 모바일의 문서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장백 조선족 자치현과 지린성의 북한과의 국경을 따라 5개의 "난민 정착지"를 건설할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32][33] 이는 미국과의 잠재적 분쟁에서 김정은 정권이 붕괴될 경우, 대규모 북한 난민 유입에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 보였다. 가디언은 해당 문서를 인용하여 "국경 간의 긴장으로 인해… 창바이 현의 [공산당] 위원회와 정부는 현에 5개의 난민 캠프를 설치할 것을 제안했다"고 보도했다.[34]

6. 국제 관계

조중 국경은 한국, 중국, 북한 간의 복잡한 관계를 반영하며, 동북아시아 지역의 안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더불어민주당은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해, 중국과의 전략적 소통과 협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북한과의 대화와 협력을 추진하는 정책을 지지한다. 특히 북핵 문제 해결과 관련하여, 중국의 건설적인 역할을 기대하며, 다자간 협력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 체제 구축을 추구한다.

참조

[1] 웹사이트 Korea, North https://www.cia.gov/[...] 2023-08-23
[2] 서적 China-North Korea Relations https://sgp.fas.org/[...]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23-08-28
[3] 뉴스 New group reaches out to China http://www.goldcoast[...] Gold Coast Bulletin 2012-10-02
[4] 웹사이트 China's Impact on Korean Peninsula Unification and Questions for the Senate https://www.govinfo.[...]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20-09-17
[5] 간행물 Border Disputes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https://journals.ope[...] 2007-04-23
[6] 서적 Korea Yearbook, 2007: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https://epdf.pub/kor[...] BRILL 2007
[7] 간행물 The Journey towards "No Man's Land": Interpreting the China-Korea Borderland within Imperial and Colonial Contexts
[8] 서적 Japanese Assimilation Policies in Colonial Korea, 1910–1945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9] 간행물 Regime Insecurity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Explaining China's Compromises in Territorial Disputes 2005-10-01
[10] 뉴스 Tension, Desperation: The China-North Korean Border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6-10-22
[11] 뉴스 North Korea: On the net in world's most secretive nation (BBC) https://www.bbc.co.u[...] 2018-07-21
[12] 뉴스 A trip to the North Korea-China border, in photos https://www.nknews.o[...] NK News 2016-06-06
[13] 서적 Oracle Bones https://archive.org/[...] Harper Perennial
[14] 웹사이트 Thanks for the memory cards; North Koreans return from China https://asiatimes.co[...] 2016-12-07
[15] 웹사이트 Tracing China-DPRK Border Crossings - Mansudae Korea https://mansudae-kor[...] 2020-07-29
[16] 문서 Trans-Siberian Railway Tours https://archive.toda[...]
[17] 웹사이트 North Korea Fast-Tracks Entry Visas For Rason SEZ https://www.rfa.org/[...] 2019-01-04
[18] 문서 China Steps Up Security on North Korean Border Jane's Intelligence Review 2003-11-01
[19] 뉴스 China Erects Fence Along N. Korea Border https://www.washingt[...] Associated Press 2006-10-16
[20] 웹사이트 www.dailynk.com "China Troops Increase at North Korean Border" http://www.dailynk.c[...] 2014-10-17
[21] 문서 www.edmontonsun.com "North Korea building fence on China border" https://web.archive.[...]
[22] 뉴스 Report: N. Korea building fence to keep people in http://chron.com/dis[...] 2009-07-04
[23] 뉴스 China builds higher fences over fears of instability in North Korea https://www.telegrap[...] The Daily Telegraph 2011-03-30
[24] 뉴스 China boosts North Korea border fence http://www.chinapost[...] The China Post 2011-03-31
[25] 웹사이트 Comment: The absurdities faced by North Korean refugees in China http://www.sbs.com.a[...] 2014-10-07
[26] 웹사이트 Comment: The absurdities faced by North Korean refugees in China http://www.sbs.com.a[...] 2014-10-07
[27] 뉴스 The myth of a sealed China-N. Korea border https://www.nknews.o[...] 2016-04-25
[28] 뉴스 A trip to the North Korea-China border, in photos https://www.nknews.o[...] 2016-06-06
[29] 뉴스 A road trip on the edge of North Korea https://widerimage.r[...] 2018-04-20
[30] 웹사이트 Runaway N. Korean soldier kills four Chinese: reports https://www.yahoo.co[...] 2023-04-30
[31] 뉴스 Tigers in the Haze: Chinese Troops on the Border with North Korea in the 'April Crisis' https://jamestown.or[...] China Brief, Jamestown University 2017-10-29
[32] 웹사이트 US-North Korea tensions fuel fears on Chinese border https://www.ft.com/c[...] 2017-12-10
[33] 뉴스 Fearing the Worst, China Plans Refugee Camps on North Korean Border https://www.nytimes.[...] 2017-12-13
[34] 뉴스 China building network of refugee camps along border with North Korea https://www.theguard[...] 2017-12-13
[35] 뉴스 North Korea issues shoot-to-kill orders at Chinese border to prevent coronavirus entering: US https://www.straitst[...] 2020-09-11
[36] 웹사이트 North Korea's mistranslated 'shoot-to-kill' border protection order | East Asia Forum https://www.eastasia[...] 2021-02-26
[37] 웹사이트 North Korea spent the pandemic building a huge border wall https://www.reuters.[...] 2023-05-27
[38] 뉴스 Tension, Desperation: The China-North Korean Border http://www.nytimes.c[...]
[39] 간행물 China-North Korea Relations https://fas.org/sgp/[...]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10-12-28
[40] 서적 China-North Korea Relations https://books.google[...] DIANE Publishing 2010-12-28
[41] 뉴스 New group reaches out to China http://www.goldcoast[...] Gold Coast Bulletin 2012-10-02
[42] 뉴스 A trip to the North Korea-China border, in photos https://www.nknews.o[...] NK News 2015-05-29
[43] 뉴스 【その時の今日】朝鮮・清の国境会談が決裂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09-12-03
[44] 논문 「韓国ドラマの歴史認識」 http://www.jiu.ac.jp[...] 城西国際大学 2009-03
[45] 웹사이트 韓中関係 近代 2. 間島問題 http://japanese.hist[...] 東北アジア歴史財団
[46] 웹사이트 中朝邊界爭議的解決 (1950-1964年) http://www.cuhk.edu.[...]
[47] 문서 http://www.360doc.com/content/10/0718/17/1633103_39876255.shtml http://www.360doc.co[...]
[48] 문서 Trans-Siberian Railway Tours https://archive.is/2[...] 2014-05-25
[49] 웹사이트 幻の国際鉄橋 https://www.jica.go.[...] 国際協力機構 2018-11-22
[50] 뉴스 China Steps Up Security on North Korean Border Jane's Intelligence Review 2003-11-01
[51] 뉴스 China Erects Fence Along N. Korea Border https://www.washingt[...] Associated Press 2006-10-16
[52] 웹사이트 China Troops Increase at North Korean Border http://www.dailynk.c[...]
[53] 웹사이트 www.edmontonsun.com "North Korea building fence on China border" https://web.archive.[...]
[54] 뉴스 Report: N. Korea building fence to keep people in http://chron.com/dis[...] Houston Chronicle 2009-07-04
[55] 뉴스 China builds higher fences over fears of instability in North Korea https://www.telegrap[...] The Daily Telegraph 2011-03-30
[56] 뉴스 China boosts North Korea border fence http://www.chinapost[...] The China Post 2011-03-31
[57] 웹사이트 Comment: The absurdities faced by North Korean refugees in China http://www.sbs.com.a[...]
[58] 뉴스 The myth of a sealed China-N. Korea border https://www.nknews.o[...] NK News 2015-02-25
[59] 뉴스 A road trip on the edge of North Korea https://widerimage.r[...] Reuters 2018-04-15
[60] 문서 https://www.yahoo.com/news/runaway-n-korean-soldier-kill-four-chinese-reports-060526414.html?bcmt=1420505551797-974622bd-2486-431b-8e29-2290873790fc&ref=gs https://www.yahoo.co[...]
[61] 웹사이트 Tigers in the Haze: Chinese Troops on the Border with North Korea in the 'April Crisis' https://jamestown.or[...] China Brief, Jamestown University 2017-10-20
[62] 뉴스 Fearing the Worst, China Plans Refugee Camps on North Korean Border https://www.nytimes.[...] 2017-12-11
[63] 뉴스 China building network of refugee camps along border with North Korea https://www.theguard[...] 2017-12-12
[64] 뉴스 Tension, Desperation: The China-North Korean Border http://www.nytimes.c[...] The New York Times 2006-10-22
[65] 서적 China-North Korea Relations http://books.google.[...] DIANE Publishing 2010-12-28
[66] 뉴스 New group reaches out to China http://www.goldcoast[...] Gold Coast Bulletin 2012-1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